TwistAmp® RPA Kits & RPA Technology
TwistAmp® RPA Kits & RPA Technology

Universal and highly accurate detection of circulating tumor DNA mutation in non-small cell lung cancer based on CRISPR/Cas12a system

2025-05-16
조회수 929
https://doi.org/10.1016/j.snb.2023.133493

비소세포폐암(NSCLC) 환자를 위한 빠르고 정확한 ctDNA 검출 신기술

이 연구는 비소세포폐암(NSCLC) 환자의 혈액 속에 떠다니는 종양 DNA 조각인 **순환 종양 DNA (circulating tumor DNA, ctDNA)**를 실시간으로, 최소 침습적인 방법으로 진단하고 모니터링하는 새로운 기술 개발에 관한 것입니다. 특히, 대표적인 종양 조직 생검이 어려운 경우 ctDNA는 매우 유용한 생체표지자(biomarker)입니다.

현재 ctDNA 검출 방법의 문제점:

기존의 ctDNA 검출 방법들은 과정이 번거롭고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습니다.

CRISPR/Cas 기반 분석법의 가능성과 한계:

최근 개발된 크리스퍼/Cas (CRISPR/Cas) 유전자 편집 기술 기반의 분석법들은 간단하고, 비용이 저렴하며, 민감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습니다. 하지만 ctDNA 검출에 적용하는 데에는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습니다.

  1. PAM 서열 제약: CRISPR/Cas 시스템이 DNA를 절단하려면 표적 돌연변이 부위 근처에 특정 염기 서열인 **프로토스페이서 인접 모티프 (protospacer adjacent motif, PAM)**가 반드시 존재해야 합니다. 이로 인해 모든 돌연변이를 검출하기 어렵습니다 (보편성 부족).
  2. 표적 외 절단 (Off-target cleavage) 및 위양성: 돌연변이 DNA 서열과 정상 DNA 서열은 매우 유사하며, 특히 단일 염기 변이(single nucleotide variant, SNV)의 경우 그 차이가 미미합니다. 이 때문에 CRISPR/Cas 시스템이 표적이 아닌 정상 DNA를 절단하여 위양성(false-positive)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(정확성/특이성 부족).

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새로운 전략:

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, 연구팀은 **재조합 효소 중합효소 연쇄반응 (Recombinase Polymerase Amplification, RPA)**과 CRISPR/Cas12a 시스템을 결합한 새로운 전략을 제안합니다. 이 방법은 ctDNA 검출의 보편성과 정확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.

핵심 기술 및 개선점:

  1. PAM 서열 제약 극복 (보편성 증대):
    • 인공 PAM 삽입: 변형된 RPA 프라이머(primer)를 사용하여 인공적으로 PAM 서열을 표적 DNA 근처에 삽입합니다.
    • 최적이 아닌 PAM 활용 (Suboptimal PAMs): 완벽하지 않은 PAM 서열도 활용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최적화하여, PAM 서열의 제약을 해소하고 더 많은 종류의 돌연변이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합니다.
  2. 표적 외 절단 감소 및 특이성 향상 (정확성 증대):
    • CRISPR RNA (crRNA) 변형: CRISPR RNA (표적 DNA를 찾아가는 가이드 역할을 하는 RNA)에 의도적으로 단일 또는 이중 염기 불일치(mismatch)를 도입합니다. 이를 통해 돌연변이 DNA와 정상 DNA 간의 미세한 차이를 CRISPR/Cas12a 시스템이 더욱 정교하게 구분하도록 하여, 표적 외 절단을 효과적으로 줄이고 단일 염기 수준까지 정확하게 돌연변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특이성을 높입니다.

연구 결과 및 성능:

  • 높은 민감도: 최적화된 조건에서, 이 방법은 100 아토몰(aM, 10<sup>-18</sup> 몰) 농도의 극미량 ctDNA 돌연변이까지 검출할 수 있었습니다 (검출 한계, Limit of Detection).
  • 미세 변이 식별: 전체 DNA 중 돌연변이 DNA가 차지하는 비율인 변이 대립유전자 빈도(variant allele frequency, VAF)가 0.02% 정도로 매우 낮은 경우에도 돌연변이를 식별해냈습니다.
  • 신속성: 검출에 소요되는 시간은 단 50분이었습니다.
  • 간편성: 복잡한 온도 변화 장비 없이, 일정한 온도(등온)에서 반응이 진행되어 현장 적용이 용이합니다.

임상적 검증:

연구팀은 이 새로운 방법을 다수의 실제 비소세포폐암 환자 임상 샘플에 적용하여 성공적으로 ctDNA를 검출했으며, 그 결과는 기존의 표준 검사법인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(real-time PCR) 분석을 통해 검증되었습니다.

결론 및 의의:

본 연구는 빠르고(rapid), 민감하며(sensitive), 보편적이고(universal), 매우 정확한(highly accurate) ctDNA 검출 방법을 성공적으로 확립했습니다. 이 기술은 비소세포폐암의 조기 진단, 치료 방법 결정, 그리고 환자의 예후 예측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.